직능자격제도 - 직능자격제도 전반에 대한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6 08:10
본문
Download : 직능자격제도.hwp
4 공정성, 객관성 확보
정당하고 공정한 사내의 인사서열을 확립함으로써 종업원의 사기를 드높이고 조직분위기를 활성화한다.
2 도입배경
기업이 연공주의에 기초한 임금제도나 승진제도 운영으로 인한 문제가되는점 이 도출되면서 연공과 능력을 절충하여 우리의 현실에 적합한 능력주의 인사제도를 실현하고자 도입하였다.
즉 현재 위치한 자격등급의 직능요건을 충족시키면 승격되고 승격된 등급에 상응하는 직능요건을 익힌 후에 책임업무, 지위에 배치됨으로서 승진된다
2) 보상
능력 향상의 결과를 급여에도 반영시키는 것으로서 직능급이 중심을 이룬다.
Ⅲ 직능자격제도의 설계와 운용
1 직능자격제도의 설계
1) 직능의 편성
직무 및 직무수행 능력의 分析을 거쳐 직능을 업무에 따른 능력의 신장과 감독, 책임 및 권한을 중심으로 편성
2) 자격등급의 구성
직무수행 능력의 발전단계에 따라 그 요건을 등급화하여 자격등급을 구성한다.
보통 직능자격제도 내에서 활용되어 장기근속화. 고학력화에 …(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Ⅱ 직능자격제도의 유용성
1 종합적 인사시스템
직능자격제도는 승진, 교육훈련 , 인사고과, 임금관리등을 포괄하는 종합적 인사시스템이다.
직능자격제도 - 직능자격제도 전반에 대한 검토
Download : 직능자격제도.hwp( 99 )
직능자격제도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직능자격제도
순서
■ 직능자격제도
Ⅰ 서설
1 의의
직능자격제도란 직무수행능력의 발전단계에 따라 일정한 자격등급을 설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개인의 승격 및 승진과 보상을 결정하는 연공과 능력을 절충한 인사시스템을 말한다.
직능급은 직무수행 능력의 발전단계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연공급과 직무급을 절충한 임금체계를 말한다. , 직능자격제도 - 직능자격제도 전반에 대한 검토인문사회레포트 , 직능자격제도
설명




직능자격제도,인문사회,레포트
다.
직능자격등급과는 별개로 근속년수 등을 기준으로 한 신분자격등급을 구성하여 양자를 절충할 수 있다아
2 직능 자격제도의 운용
1) 승격 및 승진
승진과 승격을 분리 운영함으로써 종업원의 신분 상승욕구와 처우욕구을 충족시킨다.
2 현실에 유효
연공주의와 능력주의를 절충한 것으로 우리나라 기업현실에 도입 가능한 improvement(개선)방법이다.
3 직무와 인간을 동시 충족
인사관리사의 2대 관심사를 동시에 만족시키려는 시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