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방] [서강대]종이 신문 산업의 생존 戰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3:30
본문
Download : [서강대]종이 신문 산업의 .doc
즉 이러한 전술의 방향은 30년 뒤의 종이신문이 지금의 사회지도층이나 지식인들이 향유하는 만년필이나 서예와 같은 약간은 보수적이지만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컨셉으로 future 를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전술을 기본으로 더하고 싶은 전술은, 현재 구독하고 있는 중장년층 소비자들의 힘을 빠른 시일 내에 더욱 이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둘째. 저널리즘의 기능에 대한 국민적 불신형상
순서
한국 저널리즘의 problem(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혼동 현상
![[서강대]종이 신문 산업의 -7675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5/%5B%EC%84%9C%EA%B0%95%EB%8C%80%5D%EC%A2%85%EC%9D%B4%20%EC%8B%A0%EB%AC%B8%20%EC%82%B0%EC%97%85%EC%9D%98%20-7675_01.gif)
![[서강대]종이 신문 산업의 -7675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5/%5B%EC%84%9C%EA%B0%95%EB%8C%80%5D%EC%A2%85%EC%9D%B4%20%EC%8B%A0%EB%AC%B8%20%EC%82%B0%EC%97%85%EC%9D%98%20-7675_02_.gif)
![[서강대]종이 신문 산업의 -7675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5/%5B%EC%84%9C%EA%B0%95%EB%8C%80%5D%EC%A2%85%EC%9D%B4%20%EC%8B%A0%EB%AC%B8%20%EC%82%B0%EC%97%85%EC%9D%98%20-7675_03_.gif)


[신방] [서강대]종이 신문 산업의 생존 戰略
종이신문 종이 신문 부활 전략 미디어 생태 변화 생태계
첫째. 저널리즘의 가치와 사실의
한국 저널리즘의 세 가지 문제가되는점
Download : [서강대]종이 신문 산업의 .doc( 72 )
자본과 언론의 결합시스템
한국 저널리즘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저널리즘의 본연 기능이 무엇인지 강조하고 있는 글입니다.
결론. 민주주의는 의식의 수준이
그 질을 결정한다. 신문은 기존의 위상을 찾기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이 사회적 성공을 원하는 특정 젊은이층과 사회지도층을 공략하여 탑 다운 방식으로 독자를 확보해야합니다. 종이신문을 기피하는 청년층이 신문을 접하는 기회를 늘리기 위해 기존의 중 장년층남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에 더하여 다른 가족구성원을 타겟으로 하는 컨텐츠를 조금씩 추가해야 소비자 이탈의 속도를 조금은 더
다. 신문에 나오는 시사에 대한 지식이 사회적 성공이 될 수 있게끔 일자리를 공급하는 많은 기업들과 연계하는 방법도 좋은 방법이고, 한국경제가 주최하는 테셋이라는 시험 시스템 또한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설명
셋째. 이 모든 것을 양산해내는
제안하는 우선전술은 신문사전체의 세밀한 세그멘팅을 통한 적극적인 Push전술의 수행입니다.
저널리즘의 본연 기능이 무엇인지 강조하고 있는 글입니다. 제 판단에 따르면 활자매체가 젊은 층에 어필하지 못하는 이유는 사회적 성공보다는 개인적 성공에 더욱 관심을 두는 젊은이들이 많아졌기에 사회 전반의 큰 흐름에 많은 젊은이들이 관심이 없기 때문입니다. 즉 신문자체가 가지고 있는, 그러나 Web을 절대 따라갈 수 없는 단방향성의 단점을 보완하려 노력하기 보다는, 오히려 소비자들이 더 이탈하기 전에 강하게 Push하여 신문에 대한 고정 독자층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러한 성공에 대한 시대정신의 alteration(변화) 는 거스를 수 없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