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교육·과거·음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20:05
본문
Download : 고려시대의교육(1.hwp
유학학부의 교육목적은 이념적으로는 선비(士)에서 군자, 군자에서 현인, 현인에서 성인에 이르게 하는 인간완성에 있었고, 실용적으로는 유능한 인재를 길러 국가경영에 공헌할 훌륭한 관리를 양성하는데 있었다.
1) 국자감의 성립과 운영
2) 동·서학당(東西學堂)
Ⅰ. 고려시대의 교육
순서
1) 국자감의 성립과 운영
3. 고시과목과 고시방법
고려시대사 上 - 박용운
2) 음서의 시행 원리와 수혜인원
설명
1) 음서의 범위
2)본고시=예부시(동당시)의 설행
3. 음서의 시행시기
2) 문음과 공음
2. 과거제의 정비와 변천
3) 서재
국자감 동서학당 향교 고려시대의교육 / 한국사 17 고려 전기의 교육과 文化(문화) - 국사편찬위원회
1. 과거제의 도입
1. 음서제의 성립
Download : 고려시대의교육(1.hwp( 52 )
4) 사학 12도(私學 十二徒)
1)예비고시=국자감시의 설치
「고려와 조선왕조의 관리등용제도」- 김판석■윤주희,
고려시대 음서제도와 과거제도 연구 - 박용운 1990.





2) 서경학교
고려시대사 - 박용운 일지사 1985.
다. 통일 후 공신들과 호족들의 기득권을 아우르는 권력을 행사하기 위한 고려의 정책은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하는 교육의 실행과 과거제의 실시를 통해 이루어져 갔으며, 한편으로 호족의 기득권을 타협하는 선에서 음서제도를 실시하여 호족과의 타협을 꾀하였다.
1) 향교
1) 음서의 연령
1. 중앙의 교육기관
국자감 동서학당 향교 고려시대의교육
<서문>
고려음서제도 연구 - 김용선 일조각 1996.
4. 음서제도의 운영
3) 10학
고려시대의 교육·과거·음서
1. 중앙의 교육기관
고려음서에서의 外孫出現과 法制變改 - 김수진 1991.
고려시대의 교육기관은 국립으로 중앙에 국자감(國子監)을 비롯하여 동서학당(東西學堂)과 10학이 있었고, 지방에는 서경학교(西京學校)와 향교(鄕校)가 있었다. 국자감은 고려 최고의 교육기관으로서 유학(儒學)학부(국자학, 대학, 서문학)와 기술(技術)학부(율학, 서학, 산학)로 편성되어 있었는데 그 중 유학학부가 중요시되었다. 우리조는 고려시대의 교육과 과거제도, 음서제도를 알아봄으로써 중세사회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사립으로는 개성에 12도와 전국에 서재(書齋)가 있었다.
국자감 동서학당 향교 고려시대의교육 / 한국사 17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국사편찬위원회 고려시대사 上 - 박용운 고려음서제도 연구 - 김용선 일조각 1996. 고려시대 음서제도와 과거제도 연구 - 박용운 1990. 고려시대사 - 박용운 일지사 1985. 고려음서에서의 外孫出現과 法制變改 - 김수진 1991. 「고려와 조선왕조의 관리등용제도」- 김판석■윤주희, 『한국 사회와 행정연구』- 서울행정학회 2000.12(제 11권 2호) (역사)
<본문>
Ⅱ. 과거제
4. 응시자격
Ⅰ. 고려시대의 교육
Ⅲ. 음서제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음서의 종류와 그 범위
2. 지방의 교육기관
5. 급제자의 초직과 승진
(역싸)
『한국 사회와 행정연구』- 서울행정학회 2000.12(제 11권 2호)
<결문> 지리했던 10세기 후삼국의 분열은 왕건이라는 호걸을 통하여 고려라는 나라로 재 탄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