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ge]기계공작 - 용접 결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6:26
본문
Download : 기계공작 - 용접 결과.hwp
이때, 슬랙이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② 전류를 조정한다. ⑤ 슬랙을 제거한다. 이 때 아크길이는 (3~5)㎜ 정도로 유지, 용접봉을 전방 15° 정도 기울이며 붓글씨를 쓰는 기분으로 직선 이동한다.
○ 교류아크 용접
Download : 기계공작 - 용접 결과.hwp( 62 )
⑥ 모재 표면의 녹이나 습기를 완전히 제거.
아크용접기, CO2 용접기, 호울더, 용접작업대, 헬멧, 장갑, 앞치마, 팔덮개, 집게, 치핑해머
⑦ 비드의 형성과 전류와의 관계를 watch하여 전류를 조정.
․ 안전수칙
2. 사용재료
② 용접기의 절연상태를 확실히 점검.
③ 홀더의 손잡이가 벗겨지지 않았나 점검.
④ 헬멧(눈을 보호)을 쓰고 아크를 발생시켜 운봉한다.
평철(38×120×5) 2개, 연습용 모재 다수, 용접봉, CO2 가스
⑥ 위의 ③~⑤번을 원형 이동법과 부채꼴 이동법을 이용하여 반복.
설명
① 실습에 알맞은 용접복장을 구비.(장갑, 앞치마, 팔 덮개 등)
기계공작,용접 결과
⑧ 용접봉은 항상 건조되어 있어야 한다.
3. 작업순서
① 용접기의 절연상태, 호울더의 안전성, 접지선의 접촉상태, 홀더와 용접대의 절연상태를 확인하고 스위치를 넣는다.
기계공작 - 용접 결과
순서





와이어 브러쉬, 발목덮개, 가스 흡입기
다. 용접 비드위에 덮인 슬랙을 치핑햄머로 털어내고 와이어 브러쉬를 문질러 깨끗하게 한다. 모재의 표면에 있는 녹을 제거하고 작업대 위에 놓는다.
④ 접지(eaeth)선의 접촉상태가 확실한지 점검.
1. 사용기기
⑤ 홀더와 용접대의 절연상태를 점검.
③ 용접봉의 나봉 부분(피복제가 없는 부분)을 홀더로 잘 집는다.(120-150A) : 재료의 열용량에 따라 다름. 조정 방법은 전류가 너무 강할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조정 놉을 돌려주고, 전류가 너무 약할 경우에는 시계 방향으로 조정 놉을 돌리면 된다
○ 실습내용
⑦ 모재에 따라 적당한 전류를 선정.
․ 안전수칙 ① 실습에 알맞은 용접복장을 구비.(장갑, 앞치마, 팔 덮개 등) ② 용접기의 절연상태를 확실히 점검. ③ 홀더의 손잡이가 벗겨지지 않았나 점검. ④ 접지(eaeth)선의 접촉상태가 확실한지 점검. ⑤ 홀더와 용접대의 절연상태를 점검. ⑥ 모재 표면의 녹이나 습기를 완전히 제거. ⑦ 모재에 따라 적당한 전류를 선정. ⑧ 용접봉은 항상 건조되어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