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experiment(실험)] 버너화염형상 및 온도측정experiment(실험).hwp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5:33본문
Download : 2008 버너화염형상 및 온.hwp
기전력과 접점의 온도 T1과 T2사이에는 고
그림 6-2. 각 위치(W)에서 높이(H)에 따른 온도변화(당량비1.2)
(1) 스릿제트와 원형제트의 특징을 비교하고, 스릿버너 화염과 원형버너 화염 비교하라. 또 본 실험에서 스릿버너를 사용하는 이유를 說明(설명) 하라.
[공학experiment(실험)] 버너화염형상 및 온도측정experiment(실험).hwp
원형제트버너는 원형 모양의 단면의 좁은 틈새에서 증기, 액체, 기체 등이 분출되는 형태로 재순환영역이 스릿제트와 마찬가지로 형성이 된다된다. 열전대(thermocouple)는 상이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두 개의 전기 도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적어도 한 곳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다아 이 전기적 연결부를 접점이라 한다. 열전대(thermocouple)는 상이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두 개의 전기 도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적어도 한 곳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다.
다.설명
본 실험에서는 화염에 위치에 따라서 온도를 구하는 실험이기 때문에 화염의 길이가 가능하면 길고 넓게 분포되는 화염을 띄는 스릿버너가 실험하기 적합할 것이다. 열전대 회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세가지 기본 현상은 지벡(Seebeck)결과 , 펠티어(Peltier)결과 , 그리고 톰슨(Thomson)결과 이다. 부하에 의한 오차가 없는 이상적인 측정조건하에서 열전대 회로의 기전력은 오직 지백 결과 에 의한 결과이다. 1) 지벡 효과 Thomas Johann Seebeck(1770-1831)의 이름에서 비롯된 지벡 효과는 회로내 접점의 온도 차이에 기인하는 개방 열전대 회로의 전압 또는 기전력 발생을 일컫는다. 부하에 의한 오차가 없는 이상적인 측정조건하에서 열전대 회로의 기전력은 오직 지백 효과에 의한 결과이다. 열전대의 접점은 용접, 납땝 또는 선을 서로 꼬는 경우와 같이 전기적 접합을 제공하는 어떤 방법에 의해서도 만들 수 있다아 열전대의 출력은 전압이며 전압과 열전대 회로를 구성하는 접점의 온도들 사이에는 명확한 관계가 존재한다. 기전력과 접점의 온도 T1과 T2사이에는 고
6. 결 과
1) 지벡 결과
(2) 공연비(당량비) 변화에 따른 온도 측정(測定) 값
버너화염형상, 당량비, 스릿제트, 원형제트, 공학실험
(1) 열전대
그림 6-1. 각 위치(W)에서 높이(H)에 따른 온도변화(당량비1.0)





스릿제트버너는 두 단면 사이의 좁은 틈새에서 증기, 액체, 기체 등이 분출되는 형태로 강한 재순환 영역이 형성이 된다된다.
순서
Download : 2008 버너화염형상 및 온.hwp( 59 )
(1) 열전대 온도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열전대라 불리는 전기 회로를 이용하는 것이다. 제트수에 Linear하게 비례하면서 열전달의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열의 전달의 측면에서 고르지 못하고 한쪽에 편중되어 나타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버너의 화염을 보면 위에서 말했다시피 슬릿제트에 비해 화염길이가 짧고 나가는 곳에서 화염이 집중적으로 나타나 국부적으로 온도분포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온도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열전대라 불리는 전기 회로를 이용하는 것이다. 지벡 결과 는 개방 회로에서와 같이 회로를 통한 전류의 흐름이 없는 경우에 사용한다. 열전대의 접점은 용접, 납땝 또는 선을 서로 꼬는 경우와 같이 전기적 접합을 제공하는 어떤 방법에 의해서도 만들 수 있다. 열전대 회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세가지 기본 현상은 지벡(Seebeck)효과, 펠티어(Peltier)효과, 그리고 톰슨(Thomson)효과 이다. 화염이 나가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높은 열전달 계수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며 화염을 보면 처음 화염은 온도가 올라가는 것이 늦고 화염의 길이도 원형제트에 비해 긴 것을 알 수 있다 복사 능력은 원형제트에 비해 매우 감소된다된다. 이 재순환 영역에 의해 연소에 쓰이는 공기가 가스로 희석되어 연소하는 데 방해가 된다된다. 이 전기적 연결부를 접점이라 한다. 지벡 효과는 개방 회로에서와 같이 회로를 통한 전류의 흐름이 없는 경우에 사용한다.
Thomas Johann Seebeck(1770-1831)의 이름에서 비롯된 지벡 결과 는 회로내 접점의 온도 차이에 기인하는 개방 열전대 회로의 전압 또는 기전력 발생을 일컫는다. 열전대의 출력은 전압이며 전압과 열전대 회로를 구성하는 접점의 온도들 사이에는 명확한 관계가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