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에 대한 평가와 문학적 형상화의 변천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3 19:03
본문
Download : 이순신에 대한 평가와 문학적 형상화의 변천상.hwp
3. 일제시대 : `하늘이 내신 성웅 이순신`
日本 에 의해 나라가 멸망하게 되자, 한민족의 지식인들은 새삼 `이순신`에 대해 주목하고 이순신을 민족에게 널리 알리기에 나섰다. 신채호 선생은 1908년에 <대한매일신보>에 <이순신전>을 연재했다.
레포트/인문사회
이순신에대한평가와문학적형상화의변천상
설명
Download : 이순신에 대한 평가와 문학적 형상화의 변천상.hwp( 40 )
,인문사회,레포트
2. 임란 이후의 조선시대 : `희대의 영웅 이순신`
임진왜란이 무수한 생령을 죽음으로 내몰고 이 강산을 초토화하고 막을 내린 이후, 종전된 지 2년만인 1600년에 임진왜란을 다룬 최초의 문학작품이 세상에 나왔다. 나라가 망한 지 3년 만인 1913년에는 수교사(水交社)에서 자신들이 편집한 <이순신전>을 …(省略)






이순신에대한평가와문학적형상화의변천상 , 이순신에 대한 평가와 문학적 형상화의 변천상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이순신에 대한 평가와 문학적 형상화의 변천상
다. 정조 시대에 가서는 왕실에서도 이순신에 대해 최고 최상의 예우를 하고 왕명으로 <이충무공전서>가 발간되는 등 이순신 현창에 적극 나섰다. 1905년의 을사늑약으로 日本 의 보호국이 되어 독립을 잃자, 박은식 선생은 1907년에서 1908년에 걸쳐서 서우학회(西友學會)의 <월보(月報)>에 <이순신>에 대해 썼고 국망 이후에 망명지인 상해에서 <이순신전>이란 題目의 단행본으로 발간했다. 3백년 전에 日本 을 통쾌하게 이긴 이순신을 상기함으로써 민족 정기를 북돋으고 사기를 진작시키려는 의도였다.
현재 남아 있는 data(자료)만으로 고찰해도, 당시의 절박감이 생생하게 전해진다. 전 국민이 전쟁의 진상과 참화를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는 시기에 나온 작품인만치, 그것은 당시 민중들의 평가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고 分析된다된다. 곧 윤계선의 <달천몽유록(撻川夢遊錄)>인데, 현재 이 작품은 `한일 양국에서 임진왜란을 문학화한 최초의 본격적인 창작소설`로서 자리매김되고 있따 - 최관, <日本 과 임진왜란>,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44쪽
<달천몽유록>은 27명의 임진왜란의 순국 충장들을 다루고 있는데, 가장 먼저 크게 다루어진 영웅이 곧 `대장군 이순신`이다. 이후 <임진록>을 비롯하여 임진왜란을 다룬 작품들이 계속 나왔는데, 이순신을 한몸으로 국난을 막아낸 희대의 영웅으로 묘사하는 점에서는 모두 일치한다.